무록소개       2024분야별/극장별       예정/지난공연       리뷰+사진      포토리뷰      인터뷰       리뷰(링크)      공지사항       .고.       달성예술극장
리뷰+사진=무록

소년 소녀들의 윤슬 같은 춤의 세계, 경북예술고등학교 제54회 정기무용발표회 by 서경혜 / 수성아트피아

 

제54회 경북예술고등학교 정기무용발표회

2024년 9월 25일 (수) 오후 7시 / 수성아트피아 대극장

 

- 글 : 서경혜

- 진행/사진 : 대구문화창작소 이재봉

 

 

 

대구 경북 지역을 대표하는 예술인의 산실, 경북예술고등학교의 제 54회 정기무용발표회가 지난 9월 25일 대구 수성아트피아 대극장에서 개최되었다.

 

무용 예술인으로서의 꿈을 향해 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 각 분과에서 배움에 정진해 나아가는 소년 소녀들은, 이 날 상당히 성숙한 춤꾼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각각의 춤이 가진 의미를 풀어내는 그들의 모습은 뜯어보면 대립적인 것 같으면서도 조화롭고, 어울림을 가능케하는 균형미를 담고 있었다. 각 춤마다, 예술인으로서의 그들의 미래를 응원하는 스승들의 메세지 또한 읽을 수 있었고, 그에 응답하는 아이들의 춤이 윤슬처럼 반짝반짝 빛을 발했다.

 

 

 

 


호두까기 인형 The Nutcracker / 발레

 

아이가 세상에 태어나 처음으로 갖게 되는 장난감 중에 하나는 인형(人形)일 것이다. 사람의 모양. 단순히 가지고 노는 도구에서 시작된 그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어떤 '바람'이 깃들고, 현실 속에서는 도저히 실현될 수 없는 이런저런 바람을 투영하는 대상이 된다. 이를테면 인형은 몇 번이고 죽었다 깨어날 수 있고, 하루아침에 신분상승을 하지 않는가!

 

쥐들의 공격에서 클라라를 구해내는 왕자의 정체 또한 인형. 호두까기 인형의 동화적 스토리 이면에는 그러한 인간의 욕망과 욕구불만이 득실거리지만, 시즌마다 새로운 기대감으로 보게 되는 아름다운 예술작품으로 자리매김한 데에는, 차이코프스키의 음악과 더불어 발레라는 춤이 가진 불가침(不可侵)적 미학의 덕이라 볼 수 있지 않을까.

 

이제 막 발레의 세계에 들어서 발레 춤꾼으로서의 역량을 갈고 닦는 경북예고의 소년 소녀들. 그들이 뽐내는 호두까기 인형은 마치 정말 인형이 춤추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움직임이 가볍고 발랄했다. 두 콜롬빈 인형의 고즈넉한 춤을 시작으로, 붉은 드레스를 입은 네 명의 스페인 인형이 정열적인 무드로 호흡을 맞추었고, 화려한 플룻 선율의 중국춤 음악을 휘어잡은 두 친구의 무대는 관객의 환호를 끌어냈다.

 

왕자로 변한 호두까기 인형과 클라라의 파드되에서는 여러 모양의 점프를 상당히 부드럽게 이어내며 두 주연의 완벽한 호흡을 과시했다. 왕자의 솔로 무대는 붉은 새 한 마리가 폴짝폴짝 낙원을 뛰노는 듯했고, 클라라의 32회전 푸에테는 마무리까지 흔들림이 없이 정말 깜찍한 인형의 춤을 보는 듯했다. 대단원을 장식한 눈의 나라 요정들의 춤에서는, 눈발이 날리는 무대장치와 함께 클래식 튜튜를 입은 소녀들이 눈송이처럼 기뻐 뛰놀았다. 한 송이, 한 송이, 크리스마스 이브의 밤이 새도록 결코 녹지 않고 휘날릴 신비한 눈 결정체가 이와 같지 않을까!

 

 

 

 


Play Ground / 현대무용

 

"놀이터"라고 말하고 보니 새삼 그 우리말 단어가 참 예쁘고 말 뜻에 잘 어울려 보인다. 제목에서 말하는 것처럼 춤에는 우리가 어릴 적 친구들과 즐기던 이런 저런 놀이가 녹아 있다. 가위바위보, 얼음잼, 쎄쎄쎄, 줄넘기, 공놀이 등등. 소녀들이 삼삼오오 무리를 지어 놀이터를 가득 메운다. 박자에 맞추어 무릎을 치다 지목을 당하면 벌칙을 받고, 누가누가 잘하나 줄넘기 대결을 하다 걸려 넘어져 속이 상한 아이도 있다. 소녀들의 춤은 정말로 정감 있고 예쁜 놀이터의 광경을 선사한다.

 

그런데 눈에 띄는 점이 있다. 한 편에서 삼각 사다리를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하는 소녀들의 모습. 그들은 성장의 과정, 삶의 과정에서 오르락 내리락 크고 작은 인생의 굴곡을 겪는다. 그리고 주목한다. "성공의 비결은 일을 놀이로 만드는 것"이라고! 즐기는 춤으로의 접근. 춤은 여기서 출발한다.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술래의 외침 끝에 이어지는 정지 동작, 술래의 눈을 피해 나아가는 동작. 우리가 어떤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 살아감의 과정이 춤이 되고, 춤이 놀이가 된다. 고티에의 그루브한 팝(Somebody That I Used To Know)이 흐르면 톡톡 튀는 리듬과 함께 큰 걸음으로 군무를 춘다. 그 움직임은 마치 어릴적 흙바닥에 칸을 그려놓고 돌멩이를 던지며 사방치기 놀이를 하던 모습이다.

 

핑크팬더 테마의 중후한 색소폰 소리로 분위기가 전환되자, 의자를 가진 두 소녀의 대립 구도로 춤이 펼쳐진다. 생각해보면 모든 놀이도 결국에는 이기고 지고를 따지는 대결이었다. 춤은 우리에게 익숙한 놀이처럼 음악처럼 자유로워 보였지만, 사다리를 오르고 내렸던 인생의 과제를 잊지 말라며 거듭 상기시킨다. 온몸을 던져 앞으로 앞으로 나아가지만 저항을 받아 밀리고, 또 나아가고 밀리는 소녀들의 모습이 있다.

 

비발디의 사계가 프레스토로 급류를 만들며 춤도 함께 절정으로 치닫는다. 의자로 대변되는 삶의 무게가 소녀들의 춤과 함께 뒤엉킨다. 그들은 결국 각자의 의자를 굳건히 딛고 우뚝 일어선다. 춤은 차세대를 짊어지고 나아갈 소녀들의 모습이 그렇게 우뚝 솟기를 바란다.

 

 

 

 


디딤의 미학 / 한국무용

 

어둠 속에서 나발이 울린다. 태고 적 태동의 소리처럼 공허함과 무게감을 동시에 담은 소리. 나발 소리 끝에 노란 고깔이 바닥에서 꿈틀거린다. 무대는 계속해서 어둡고, 괘종시계의 추 소리처럼 일정한 간격을 둔 소리와 함께, 공간을 배회하는 흰 고깔이 있다. 소리와 걸음, 꿈틀거림에는 시간의 흐름이 담겨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땅은 굳어간다. 무(無)에서 유(有)를 태동시키는 대지의 기운이 점차 공간에 이글거리는 느낌이다.

 

디딤의 미학. 춤은 한국무용의 시작을 땅으로 보고, 땅이 지닌 생명력을 예찬한다. 발 디딤 또한 땅이 있기에 비롯된 것. 땅과 인간을 이어준 최초의 연결고리로서의 산물인 것이다.

 

이어지는 타악 연주가 '비로소' 대지의 울림처럼 보는 이의 가슴을 두드린다. 고깔을 쓴 소녀들이 차례대로 등장해 대열을 이룬다. 일렬로 나아가 까딱까딱 착착. 발로 바닥을 딛는 모양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굳세어진 땅의 기운이 샘솟는다. 징과 꽹과리가 주고 받는 소리가 그렇게 태고 적부터 준비되어 온 대지의 생명력을 축복한다. 하얀 옷자락을 펄럭이는 소녀들의 춤은 계속해서 어떤 의식처럼 바닥에 발을 구른다.

 

더해지는 기이한 구음이, 마치 깨어난 대지의 정령들의 호령처럼 공간에 메아리치며 신비로움을 불어넣는다. 소년을 중심으로 생명의 씨앗이 움튼다. 차분하게 대열을 변화하며 진화를 기록해 나아가는 군무에는 생명과 존재의 유의미함과 위대함이 한껏 어리어 있다.

 

고맙다, 수고했다, 이제는 우리 차례다, 잘 부탁한다. 소녀들은 그들만의 방법으로 대지와 교감해 나아간다. 이제는 타악 장단이 더 빠르게 긴장감을 부여하고 디딤의 모양도 더 깊고 넓어진다. 다이내믹한 구도의 변화가 이번 축제의 하이라이트를 그려낸다. 형형색색의 유리구슬과 종이조각이 화려한 무늬를 만들어내는 만화경처럼, 공간을 펄럭이며 쉴 새 없이 구도를 그려내는 흰 옷자락. 대단원에 울려 퍼진 소녀들의 당찬 구음은, 마치 그들의 미래가 오늘의 춤처럼 아름답기를 바라는 대지의 기합 소리였을 것이다!
 

 

.

TAG •

  1. 250420 / 춤내음과 함께 어우러지는 각자의 언어 ‘2025 달스타안무드라이트’ by 최윤정 / 달성예술극장

    춤내음과 함께 어우러지는 각자의 언어 ‘2025 달스타안무드라이트’ 2025 달스타안무드라이트 2025년 3월 23일 (일) 오후 18:30 / 달성예술극장 주최 : ...
    Views29
    Read More
  2. 250319 / 비판과 투쟁 속에서 안녕을 외치다 '2025 제6회 전국안무드래프트전' by 최윤정 / 달성예술극장

    비판과 투쟁 속에서 안녕을 외치다 '2025 제6회 전국안무드래프트전' 제6회 전국안무드래프트전 2025년 3월 19일 (일) 오후 6시 / 달성예술극장 주최 :...
    Views75
    Read More
  3. 250305 / 고요한 날갯짓의 원초를 따라 '프시케댄스시어터 창단공연 변태 Metamorphosis' by 최윤정 / 달성예술극장

    고요한 날갯짓의 원초를 따라 '프시케댄스시어터 창단공연 변태 Metamorphosis' 대구문화창작소 제42회 달스타2030예술극장 프시케댄스시어터 창단공연...
    Views72
    Read More
  4. 250304 / 국립창원대학교 '세계유산 가야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시작 - 글로컬대학사업단과 무용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세계유산 가야의 역사성과 예술성을 표현한 “가야고분군 콘텐츠 개발“ 프로젝트 시작 - 국립창원대학교 글로컬대학사업단과 무용학과, 산업디자인학과...
    Views81
    Read More
  5. 241226 / 함께 나누는 전통, 고유하기에 남겨지는 것 '강태관과 함께하는 우리 춤, 우리 가락' by 최윤정 / 아양아트센터 아양홀

    함께 나누는 전통, 고유하기에 남겨지는 것 '강태관과 함께하는 우리 춤, 우리 가락' 2024 송년특집 구민초청 '우리춤 우리가락' 2024년 12월 13일 (금...
    Views71
    Read More
  6. 241224 / 하나의 무대 위에 담기는 순환과 멈춤 - 소울무용단 '사계, Still Life' by 최윤정 / 달성예술극장

    하나의 무대 위에 담기는 순환과 멈춤 '사계, Still Life' 소울무용단 정기공연 사계, Still Life 2024년 12월 21일 (토) 18:00 / 달성예술극장 - 글 :...
    Views77
    Read More
  7. 241220 / 무대 위에 펼쳐지는 감각과 배움 '다시 추는 춤, 함께 추는 춤 in 부산' by 최윤정 / 영화의전당 하늘연극장

    무대 위에 펼쳐지는 감각과 배움 '다시 추는 춤, 함께 추는 춤 in 부산' K ARTS 다시 추는 춤, 함께 추는 춤 2024년 12월 8일 (일) 16:00 / 영화의전당...
    Views21
    Read More
  8. 241205 / 현시대에 던지는 몸짓으로 전하는 질문 '국제2인무페스티벌-대구' by 최윤정 / 수성아트피아 소극장

    현시대에 던지는 몸짓으로 전하는 질문 '국제2인무페스티벌-대구' 제9회 국제2인무페스티벌-대구 2024년 10월 29일 (목) 19:30 / 수성아트피아 소극장 ...
    Views26
    Read More
  9. 241202 / 홀로 나타내는 전통춤, 춤이 수놓는 움직임 '2024 대구 전통춤의 밤 - 춤, 노닐다' by 최윤정 / 봉산문화회관 가온홀

    홀로 나타내는 전통춤, 춤이 수놓는 움직임 '2024 대구 전통춤의 밤 - 춤, 노닐다' 2024 대구전통춤의 밤 '춤, 노닐다' 2024년 10월 26일 (토) 19:00 /...
    Views42
    Read More
  10. 241201 / 계승되는 전통, 다시 틔우는 꽃 '2024 대구전통춤문화제 차세대전 이립' by 최윤정 / 봉산문화회관 스페이스라온

    계승되는 전통, 다시 틔우는 꽃 '2024 대구전통춤문화제 차세대전 이립' 2024 대구전통문화제 차세대전 이립 2024년 11월 3일 (일) 오후 6시 / 봉산문...
    Views55
    Read More
  11. 241130 / 같이 걷는 길, 모두가 즐기는 전통춤 '2024 대구전통춤문화제 동무' by 최윤정 / 봉산문화회관 가온홀

    같이 걷는 길, 모두가 즐기는 전통춤 '2024 대구전통춤문화제 동무' 2024 대구전통문화제 동무 2024년 11월 2일 (토) 오후 6시 / 봉산문화회관 가온홀 ...
    Views61
    Read More
  12. 241129 / 하나의 길, 길을 밟는 여정 '아정무용단 - 길위의 길' by 최윤정 / 경산시민회관 대극장

    하나의 길, 길을 밟는 여정 '아정무용단 - 길위의 길' 손혜영아정무용단 '길 위의 길' 2024년 11월 9일 (토) 17:00 / 경산시민회관 대극장 - 글 : 최윤...
    Views34
    Read More
  13. 241129 / 창작과 낭만, 고전의 조화 '2024 대구경북발레페스티벌' by 최윤정 / 대구오페라하우스

    창작과 낭만, 고전의 조화 '2024 대구 경북 발레 페스티벌' 2024 대구경북발레페스티벌 - 발레스타와 함께하는 - 클래식발레와 창작발레가 함께하는 발...
    Views36
    Read More
  14. 241128 / 꿈꾸는 경산 '길 위의 길 a road on the road' by 김윤정 / 경산시민회관 대극장

    꿈꾸는 경산 '길 위의 길' 2024년 11월 9일 (토) 17:00 / 경산시민회관 대극장 - 글 : 김윤정 - 진행/영상(캡처) : 대구문화창작소 이재봉 가을이 깊어...
    Views28
    Read More
  15. 241127 / 한국 춤과 전통의 눈높이를 맞추다 '한국춤더함+ 제4회 렉처퍼포먼스 한국춤 전통의 의미를 열다' by 최윤정 / 대구문화예술회관 비슬홀

    한국 춤과 전통의 눈높이를 맞추다 '한국춤더함+ 제4회 렉처퍼포먼스 한국춤 전통의 의미를 열다' 한국춤더함+ 제4회 렉처퍼포먼스 - 한국춤 전통의 의...
    Views55
    Read More
  16. 241113 / 춤으로 노닐었던 아름다운 밤 '대구전통춤의 밤 - 춤, 노닐다' by 김윤정 / 봉산문화회관 가온홀

    춤으로 노닐었던 아름다운 밤 '대구 전통춤의 밤 - 춤, 노닐다' - 시간의 결 따라 흘러가는 춤의 서사시 2024 대구전통춤의 밤 '춤, 노닐다' 2024년 10...
    Views25
    Read More
  17. No Image

    241103 / 소년 소녀들의 윤슬 같은 춤의 세계, 경북예술고등학교 제54회 정기무용발표회 by 서경혜 / 수성아트피아

    소년 소녀들의 윤슬 같은 춤의 세계, 경북예술고등학교 제54회 정기무용발표회 by 서경혜 / 수성아트피아 제54회 경북예술고등학교 정기무용발표회 202...
    Views35
    Read More
  18. 241020 / 땀으로 빚어낸 도약의 무대 '제54회 경북예고 무용과 정기발표회' by 최윤정 / 수성아트피아 대극장

    땀으로 빚어낸 도약의 무대 '제54회 경북예고무용제' 제54회 경북예술고등학교 정기무용발표회 2024년 9월 25일 (수) 오후 7시 / 수성아트피아 대극장 ...
    Views49
    Read More
  19. 240921 / 바라는 이상, 그 사이 환상 '인코리아국제무용제' by 최윤정 / 달성예술극장

    바라는 이상, 그 사이 환상 '인코리아국제무용제' 인코리아국제무용제 2024년 8월 17일 (토) 오후 6시 / 달성예술극장 - 글 : 최윤정 - 진행/사진 : 대...
    Views86
    Read More
  20. 240919 / 실험과 도전, 전통이 한데 묶인 화합의 장 '2024 대구국제무용제' by 최윤정 /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

    실험과 도전, 전통이 한데 묶인 화합의 장 '2024 대구국제무용제' 2024 대구국제무용제 2024년 9월 11일 (수) 오후 7시 30분 /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
    Views8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
Copyright 221008. 무록. All rights reserved.
전화 010.6500.1309  메일 pptory@naver.com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225-3 대구문화창작소
사업자등록번호 883-86-00715
84
62
36,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