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나타내는 전통춤, 춤이 수놓는 움직임 '2024 대구 전통춤의 밤 - 춤, 노닐다'
2024 대구전통춤의 밤 '춤, 노닐다'
2024년 10월 26일 (토) 19:00 / 봉산문화회관 가온홀
- 글 : 최윤정
- 진행/사진 : 대구문화창작소 이재봉
10월 26일 토요일 밤, 봉산문화회관 가온 홀에서 공연 '2024 대구 전통춤의 밤 - 춤, 노닐다'의 막이 올랐다. 이번 무대에서는 전통춤 7개의 작품이 선보여지고, 한국 전통춤의 명맥을 잇고 정신을 지켜내려는 춤꾼들의 노력과 기상이 엿보인다.
한영숙제-박재희류 태평무
출연 박정희
태평무에서 중시되는 미학은 절제와 정중동의 미이다. 아주 천천히 전개되는 움직임에는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염원이 강하게 담기고, 무용수는 이를 온몸으로 표현한다. 장단의 변화와 함께 동작들은 조금 더 절도 있어졌고, 조금 더 흥이 나기 시작한다. 파란 겉치마를 들추면 빨간 속치마가 살짝 드러나는데, 이에 발디딤은 잘 보이지 않지만, 태극의 어우러짐 같은 색의 조화가 드러난다. 조화로운 나라와 평화를 기원하는 춤사위가 이어지고, 약간의 무게를 싣고 팔이 허공을 터치하며 끝이 난다.
임이조류 한량무
출연 최석민
무대의 조명이 켜지면 무대 한가운데에는 잘 갖춰 입은 양반이 등장한다. 모든 움직임에 여유가 묻어 있으며, 행동 또한 장단에 맞춰 느린 것이 아닌 신분의 에티튜드에서 나온 서두를 것 없는 움직임이다. 한발 한발이 무심하게 앞길을 튼다. 부채가 펼쳐질 때도 부채에 시선이 가는 것이 아닌 무용수의 디딤에 더 집중된다. 움직이면서도 동작의 맵시를 신경 쓰며, 일부러 휘날려주는 도포 자락이 그림 같은 광경을 만들어낸다. 그 무엇도 이를 재촉하지 않고, 무용수 역시 본인에게 주어진 시간에 맞추어 살아간다. 같은 자리에 발을 두 번 디뎌 여유를 강조하며 약간의 익살스러운 동작을 섞어 무대 가득 놀고먹기만으로 하루가 끝나는 양반의 하루가 펼쳐진다. 무용수의 회전과 함께 휘날리는 부채와 도포가 무대의 말미를 장식하고, 양반의 품위는 잃지 않으려 노력하며 한량의 하루가 마무리된다.
권명화류 소고춤
출연 김미수
소고춤의 시작부터 객석은 흥이 차오른다. 채로 치맛자락을 들어 올리면 하얀 버선을 신은 발의 디딤이 눈에 띄고, 무용수가 앞으로 쭉 뻗은 소고가 어떤 효과를 가져올까 하는 기대가 생긴다. 소고는 허공에서 선을 그려내기도 하고 채에 맞고 빙그르르 돌기도 한다. 채가 무용수의 발끝을 스치고 소고의 표면을 두드려 흘러나오는 장단에 소리를 더한다. 양손을 절도있게 들어 올리고 물처럼 유연한 흐름에 맞춰 흘러가기도 한다. 소고는 채와 함께 바닥을 두드리기도 하고 무용수를 앞으로 끌어내기도 한다. 이 무대는 소고로 주도되어 소고와 함께 마무리된다.
문진수류진쇠춤
출연 박진미
강렬한 붉은 색 갓과 두루마기가 등장한다. 한 손에 든 너슬이 채의 움직임에 따라 허공으로 휘날리며 언뜻언뜻 무대를 화려한 색으로 채색한다. 여러 가지 색의 천이 달린 너슬이 무대의 구성을 화려하게 꾸며내면 다른 손에 들린 꽹과리가 조명을 받아 반짝거린다. 이어 쇠를 두들기는 너슬이 색깔만큼이나 화려하고 쨍한 소리를 내며 두들겨진다. 무용수의 회전 속도에 따라 리듬을 달리하다가, 변화무쌍한 리듬을 자랑한다. 그럼에도 장단을 잃지 않으며 일정치 않게 흔들리는 너슬이 시각적 재미를 더한다.
성윤선작 노랫가락장고춤
출연 조연우
장구를 둘러메고 움직이는 동작이 우아하다. 양손에 장구채를 쥔 채 장구를 두드린다. 공간을 가득 채우는 노랫소리에 맞춰 움직임이 전개된다. 디딤이 시원하고 막힘없이 흘러간다. 유쾌하고 밝은 움직임은 돌풍 바람처럼 온 무대를 사정없이 휩쓸고 다닌다. 뒤를 보지 않고 후진하는데 그 속도 또한 빠르고 거기에 마구잡이로 돌기까지 한다. 청아하게 울려 퍼지는 장구 소리가 무대 위를 가득 채우고 무용수의 움직임 또한 소리에 맞춰 흘러가다가, 그 절도 있는 움직임에 무용수의 미친 듯한 회전이 더해진다. 손에 땀을 쥐게 하며, 탄성까지 자아내는 움직임이 멈출 때 노랫가락장고춤은 비로소 끝이 난다.
강성민 안무 보렴화무
출연 이선경
종종걸음으로 연꽃을 들고나온 무용수는 북 앞에서 연꽃을 양손에 틀어쥔 채 의식을 거행한다. 무대에서 빛나는 것은 무용수의 고깔과 양손에 쥐고 있는 연꽃뿐이다. 허공에서 흔들리기도 하고 바닥을 스치고 허공 높이 치솟기도 한다. 이내 연꽃이 북의 옆쪽을 장식하고, 남색의 장삼을 입은 무용수가 직접 무대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장삼이 사방으로 휘날리고 푸른 조명으로 빚어진 듯한 무용수가 조명 위를 넘실넘실 밟으며 움직인다. 빠른 리듬으로, 한시도 쉬지 않고 북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려온다. 점점 강해지고 점점 빨라진다. 북의 가장자리를 두드리며 마무리된 무대는 관객들의 박수 소리와 함께 마무리되었다.
현학무
출연 노현식
느리고 묵직한 거문고 소리 아래, 그 음의 높이에 따른 느린 움직임이 무대 위에서 태동한다. 한 선비의 움직임이 촘촘하게 흐름을 수놓고, 그 양식은 무대 한가운데 세워놓은 부채를 중심으로 돌아간다. 일정 거리를 놓고 부채를 의식하다가, 사르르 다가와서는 슬그머니 집어 든다. 발을 다 가리는 치마가 아닌 도포를 입어 발디딤이 잘 보이는 데에도 도포를 들어 올리면, 무용수의 발디딤이 강조되고 그 순간 무용수의 발디딤 또한 화려해진다. 느릿했던 거문고의 소리에서 한순간 장단이 변하면 무용수의 흐름은 그에 맞춰 급변한다. 빨라지고 조금 더 강조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해진다. 도포 자락이 그림처럼 휘날리고 부채로 옷을 들어 올리면 마치 학의 꼬리를 보는 것처럼 느껴진다. 달라진 리듬에 적응해 갈 때쯤 장단은 원래의 장단으로 다시 돌아온다. 움직임의 흐름 또한 처음으로 돌아오고, 무용수는 무대 중심에 다시 부채를 세운다. 무대의 처음으로 돌아왔다. 마치 불교에서의 윤회를 본 듯하다.
.